재미삼아 읽었습니다, 역사라기엔 좀 그렇고 지난 과거가 어떻게 되었는지 궁금증 일부를 해소하게 만드는 책입니다.당시 박정희 대통령 돌아가실 때 아직 생생합니다. 아주 큰 꽃 상여차가 도심 대로를 지나가면서 대부분의 국민들이 슬퍼할 때, 저희 부모님, 조부모님도 나랏님 돌아가셨다고 말할때.... 김재규 대통령 살인범으로만 알고 지나길 30년 이상 세월이 내가 모르고, 알려고 하지 않았든 것에 잠시 부끄럽게 만드는 사실들이 서두에 재미삼아 읽었다는 것과 모순되지만, 돌이킬 수 없음에 이제야 알았음에 그렇다는 것입니다. 그 시대가 어떤 시대인지 모르고 잘 살았다는 것에 바보스럽고 앞으로 후 세대에 어떻게 해 줘야할 지 개인적으로 생각하게 끔 합니다.
김재규의 변호인이 보고 듣고 겪은 것들의 전모를 담은 생생한 현장 기록
왜곡과 은폐의 시간을 넘어 지금 우리에게 당도한 10·26의 진실은 무엇인가
1979년 10월 26일 유신의 심장 박정희를 쏜 김재규. 그는 ‘내란 목적 살인죄’로 사형에 처해졌고, 그렇게 법률적 판결은 종료되었지만, 그 판결이 과연 옳았는지에 관한 논란은 37년이 지난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 책은 김재규의 변호인이었던 저자가 170일간의 재판 과정을 통해 10·26의 실체를 조명하는 역사적 기록물이다. 사건 현장에 있었던 이들의 생생한 법정 진술을 비롯해 공판 조서, 수사 기록, 언론 보도 등의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구성했다는 점에서 여타의 10·26 관련 책들과 큰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
저자는 10·26 사건의 변호인들 중 1심부터 3심까지 줄곧 김재규의 변론을 맡은 유일한 인물로, 공판 조서에는 요약되거나 삭제된 김재규의 주요 진술과 변호인에게만 털어놓은 개인적 고백들을 치밀한 기록으로 남겨놓은 장본인이다. 10·26은 박정희의 유신헌법을 비롯해 부마사태, YH사건, 12·12 사태, 5·18 광주민주화운동 등과 하나의 맥락에 놓인 사건으로서 사회적·정치적·역사적 평가가 함께 이루어져야 하는 사건이며, 이 책은 그러한 총체적 평가에 있어 꼭 필요한 모든 증거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화보
들어가는 말
10·26 연표
10·26 사건의 주요 인물
1부 우연인가 필연인가
1. 김재규와의 첫 만남
국선변호답지 않은 국선변호
우발범인가, 확신범인가
김재규와의 접견
2. 우연인가 필연인가
김재규의 필연론
국헌문란 기도-대통령 시해 사건
개만도 못한 인간
3. 핏자국이 흩어져 있는 현장
만찬석의 풍경
태연한 범행 재연
2부 진실과 거짓
4. 제1차 공판(1979년 12월 4일) : 모두진술과 재정 신청
사건 발생 39일 만의 첫 공판
긴장감이 감도는 팽팽한 법정 공방
장군과 피고인
5. 제2차 공판(1979년 12월 8일) : 김재규에 대한 신문
거스를 수 없는 대법원의 결정
치열한 법정 공방으로 10차례 휴정
검찰관의 옐로카드
도청장치가 설치된 법정
국선변호인을 혼내주자
피아노만은 안 됩니다
김재규에 대한 검찰 신문
김재규에 대한 변호인 반대신문
김재규에 대한 재판부 신문
6. 제3차 공판(1979년 12월 10일) : 김계원에 대한 신문
김계원에 대한 검찰 신문
김계원에 대한 변호인 반대신문
김계원에 대한 재판부 신문
7. 제4차 공판(1979년 12월 11일) : 박선호, 박흥주, 이기주, 유성옥, 김태원, 유석술에 대한 신문
박선호에 대한 검찰 신문
박흥주에 대한 검찰 신문
김재규의 사선변호인단 거부
이기주에 대한 검찰 신문
유성옥에 대한 검찰 신문
김태원에 대한 검찰 신문
유석술에 대한 검찰 신문
박선호에 대한 변호인 반대신문
8. 제5차 공판(1979년 12월 12일) : 변호인의 반대신문과 재판부 신문
박흥주에 대한 변호인 반대신문
이기주에 대한 변호인 반대신문
유성옥, 김태원, 유석술에 대한 변호인 반대신문
박선호 등에 대한 재판부 신문
12·12 사태로 12월 13일 공판 연기
9. 제6차 공판(1979년 12월 14일) : 피고인들에 대한 보충신문
김재규와 유성옥에 대한 외부 의사 진단 허가 신청
박선호에 대한 보충신문-김재규는 국민의 편이다
박흥주에 대한 보충신문-청렴결백한 비운의 대령
이기주, 유성옥에 대한 보충신문-고문을 당했는지는 상상에 맡깁니다
김계원에 대한 보충신문-결정적인 세 마디는 왜 서로 다를까?
증거조사 병행 결정
10. 제7차 공판(1979년 12월 15일) : 김재규에 대한 반대신문과 보충신문, 그리고 만찬석 여인들의 증언
반대신문에 임하는 국선변호인의 입장
20대부터 시작된 공산당과의 싸움
정권 잡을 생각 없었다
비리법권천
명확히 기억하는 발사 전 세 마디
혁명 지도자, 나 한 사람만 처벌하라
재판 결과는 국민의 심판을 받으리라
국민 전체의 지지가 있었다
김계원은 혁명할 사람이 아니다
마음으로부터 동조한 것은 아니다
경호원 사살은 정당한 명령인가?
검찰의 증거 제시
만찬석 여인들의 증언 1 : 증인 신재순
만찬석 여인들의 증언 2 : 증인 심민경(예명 심수봉)
11. 제8차 공판(1979년 12월 17일) : 증인 15인에 대한 신문
아직도 열람 안 되는 공판 조서
증인 김병수에 대한 신문
증인 송계용에 대한 신문
증인 남효주에 대한 신문
증인 김용남에 대한 신문
증인 서영준에 대한 신문
증인 김인수, 김일선, 윤병서에 대한 신문
증인 임상봉, 이종우, 정갑순, 성상철, 지장현, 정상우에 대한 신문
증인 유혁인에 대한 비공개 신문
12. 제9차 공판(1979년 12월 18일) : 구형과 변론
변호인들의 마지막 안간힘
검찰의 논고-반국가 대역 행위이다
김재규, 이기주, 유성옥에 대한 변론 요지-국헌문란으로 볼 수 없다
김계원, 박흥주에 대한 변론 요지-내란죄는 무죄다
박선호, 김태원, 유석술에 대한 변론 요지-내란목적살인의 요건
유석술, 김태원, 유성옥, 이기주, 박흥주, 박선호의 최후 진술-다시 그 상황이 와도 그렇게 할 수밖에 없다
김계원의 최후 진술-홍모의 보은도 드리지 못하고
김재규의 최후 진술-자유민주주의는 3700만이 갈구하는 것
13. 제10차 공판(1979년 12월 20일) : 1심 판결 선고
김재규, 김계원, 박흥주, 박선호 등 7명 사형 선고
1심 판결 이유
관할관 확인, 피고인들의 항소
박흥주의 사형 집행
김재규와의 접견에서 나온 이야기들
14. 항소심 재판
김재규의 항소이유
김계원·박선호·이기주·유성옥·김태원의 항소이유
제1차 공판(1980년 1월 22일) : 김계원·김태원에 대한 사실심리
제2차 공판(1980년 1월 23일) : 박선호 등에 대한 사실심리
제3차 공판(1980년 1월 24일) : 항소심 심리, 변론과 최후 진술
항소심 판결 선고(1980년 1월 28일)와 확인 조치-김계원, 무기로 감형
김재규의 항소이유보충서-공개 법정에서 밝힐 수 없는 것
15. 상고심 재판
상고이유서
대법원 판결 선고(1980년 5월 20일)
사형 집행(1980년 5월 24일)
3부 남은 이야기들
16. 불붙는 구명운동
보도되지 못한 윤보선 전 대통령의 성명
천주교 정의구현 사제단의 구명청원서
천주교여자수도회의 조국을 위한 기도문
10·26 사건 가족, 윤보선 전 대통령, 양심범가족협의회, 구명위원회의 호소
17. 무참히 짓밟힌 민주화의 봄
유신 폐지 선언 후 3개월 만의 2·29 복권
은밀히 진행되는 신군부의 집권 음모
5·16과 3공, 그리고 12·12와 5공
18. 박정희와 김재규
박정희에 대한 평가-영욕이 교차한 시대
김재규에 대한 평가-역사가 판단할 몫
후기: 10·26 영령 37주기를 맞으며
부록: 변론요지서, 항소이유서, 항소이유보충서, 상고이유서, 대법원 판결문 요지(다수의견, 소수의견)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