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10대 마음보고서

육아서라기엔좀 어패가있는듯 느껴지기도하지만.ㅋㅋ15세12세 두 딸은 아직 나에겐 아기같습니다.한동안 불같이 무섭던 중2딸이, 이책 가운데나오는 사춘기를 헤치고나온 자녀가 어엿한 어른이되어 곁에서있었단말같이, 지금은 그렇게 든든하고 예쁠수가없네요.좀더이책을 일찍 접했다면, 큰아이를 대하는데있어서 내가 좀더 덜힘들수있었겠다..싶지만. 그나마 첫딸 키우는 엄마치곤 저도 중간이상 점수는 받을수있지않을까 싶습니다.덕분에 둘째아이의 사추기는 더 익숙히 잘 이겨낼수있겠죠.읽고 주변에 추천많이했습니다~

도대체 아이들은 무엇을 원하는 것일까? 학교에서 아이들과 함께 생활해보지 않으면 절대 모르는 선생님들의 생생한 현장 기록나쁜 아이는 없다! 아이들이 달라지는 건 끝까지 함께하려고 노력하는 그 마음 때문 알다가도 모를 10대 아이들과의 심리 게임 자신들의 세계를 모르면 그것을 이용하고, 자신들을 인정해주지 않으면 담을 쌓는다 사춘기 아이들은 인상만 써도 무섭다고 한다. 북쪽에서 쳐들어오지 못하는 이유도 ‘중2’ 아이들이 무서워서라는 말도 있다. 어디로 튈지 모르는 10대 아이들을 대하기 어려운 것은 집에서나 학교에서나 마찬가지 아닐까. 이런 아이들이 하루 종일 모여 있는 학교라는 공간은 긴장감이 팽팽한 작은 분화구와도 같다. 아이들끼리의 심리 게임을 펼치기도 하지만, 아이들과 선생님과의 심리 게임이 펼쳐지기도 한다. 이 심리 게임에서 아이들을 제압하는 방법은 아이들의 세계를 알고 있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 이유를 분명하게 제시해주는 것이다. 아이들은 자신들의 세계를 모른다고 생각하면 그것을 이용하고, 자신들을 인정해주지 않는 세계와는 담을 쌓는다.따라서 이런 10대 아이들의 마음을 아는 것이 선생님들에게도 생존 전략이기도 하다. 이 책은 선생님들이 학교라는 공간에서 함께 생활해보지 않으면 절대 모르는 10대 아이들의 마음을 생생하게 담은 현장의 기록으로, 중·고등학교 선생님 6명이 공동 집필했다. 저자들은 학교에서 보면 과장을 좀 보태면 쉬운 아이는 없고 힘든 아이만 있는 것 같다 라고 말한다. 어떤 아이는 너무 조용해서, 어떤 아이는 친구들을 괴롭혀서, 어떤 아이는 성적이 오르지 않아서, 어떤 아이는 부모와의 갈등으로, 어떤 아이는 기이한 행동을 해서…. 하지만 선생님들은 분명하게 말한다. 겉으로 보기에 거칠어 보이는 아이도 일대일로 다가가 진심으로 대하면 절대악(나쁜 아이는 없다. 이 책은 이런 선생님들의 교육 신념을 바탕으로 한다. 아이들의 꿈찾기도 사회생활의 기초가 되는 관계맺기도 그 출발점은 아이들의 마음을 아는 것이라는 이야기다. 혹여 친구의 마음을 몰라 애태우고 있다면, 아이의 마음을 몰라 답답해하고 있다면, 학교에서 아이들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 하고 있다면 이 책을 읽어보길 추천한다. 이 책은 아이들의 마음을 알고 싶어 하는 모든 이에게 작은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선생님들이 오랜 시간동안 학교에서 관찰하고 연구모임에서 토론한 결과를 담은 것이다.

머리말 도대체 저 아이는 왜 저런 행동을 할까?

1장 인생 각본을 다시 써보자
아이들은 저마다 각본을 써놓고 살아간다∥뭘 해도 안 되는 아이들∥인생 각본을 다시 쓸 수 있을까?∥바람대로 살아가기∥평화로운 학급 각본 만들기∥승자 각본으로 다시 쓰기
함께 생각해 보기

2장 인정받고 싶은 아이들
아이들의 센 척∥욕망과 인정욕망∥폭력과 따돌림은 인정투쟁의 한 방법
함께 생각해 보기

3장 시로 말 걸기
센 척이 답은 아니었다∥권태로운 고3 아이들과 이야기 학급통신∥시 속에 아이들의 마음이 있다∥서로의 마음을 교류하는 시
함께 생각해 보기

4장 옳을 수도 틀릴 수도 있는 가설 연역적 방법
투명인간 민아∥원래 어눌해서 놀림거리가 되기 쉬웠다∥침묵은 민아의 유일한 선택∥상처가 있지만 화해하고 싶어 하는 아이∥오해에서 비롯된 따돌림∥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 함께 생각해 보기

5장 아이들의 진짜 마음, 가짜 마음
학교를 그만두고 싶은 아이들∥자신들도 모르는 아이들의 진짜 마음 알기
함께 생각해 보기

6장 유년의 상처와 화해하기
친구를 사귀는 법∥ 공부 잘하는 왕따 아이∥글쓰기와 상처 떠나보내기∥
함께 생각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