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정확한 시전을 모르겠지만 한국교회 내에 이상한 개념이 2가지 널리 유포되어졌다 그중 하나는 예배당 또는 교회당으로 불려졌던 건물을 성전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목사직은 구약 시대의 제사장직으로 둔갑했다종교개혁으로 가톨릭의 사제주의를 벗고 개신교회는 성경에 기록된 바와 같이 모든 그리스도 성도는 만인 제사장 의식을 깨워냈다 그러다 한국교회는 이를 외면적으로 부인하지는 않으나 내면적으로 목사의 특별한 구약의 제사장적 지위를 스스로에게 부여함과 동시에 직무를 부여하기에 이르렀다이로써 한국교회는 산으로 가기 시작했고 그리스도인들의 성장은 멈춘 상태가 되어진 듯 하다이 책은 이러한 한국교회의 왜곡과 폐해를 꼬집고 성경적 목사직을 고찰함과 동시에 개혁되어져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거룩한 삶으로의 부르심.무엇이 문제인가?
오늘날 많은 비난 속에 놓여있는 목사들을 생각할 때 마음이 매우 불편하다. 그들은 바울이 말한 책망 받을 것이 없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이 진리라면 우리는 올바른 자질을 갖춘 목사가 목회하는 교회가 되도록 한국교회를 새롭게 재구성하는 일에 힘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신약성서는 목사가 특별한 사회적 권력과 신분을 지닌 사회적 계층이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가르친다. _ 조석민
모든 그리스도인은 각자의 삶에서 하나님 나라 백성으로 살아가는 거룩한 삶으로 부름 받았다. 이것이 가장 중요한 소명 경험이요 깨달음일 것이다 _ 김근주
오늘날의 목사직은 선포 일방적 목사직에서 말과 행위의 일치를 보여주는 수행적 목사직이 요구된다. 목사직의 이중성을 고민해야 한다. 배타적 특권의식으로 똘똘 뭉친 성직주의 목사직이 아니라 사회속에서 포용성과 타당성과 시민 상식을 발휘하는 공공성의 목사직이 요구된다. 목사직의 관리에 있어서 공공성이 요구된다. _ 김동춘
루터는 사제와 평신도의 구분을 철폐했고, 세례 받은 모든 그리스도인들이 사제요 주교요 교황이라고 선언했다. … 만인사제주의를 현실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결코 용이하지 않다. 이를 위해서는 더욱이 평신도들에 대한 적절한 수준의 교육과 관리가 병행되어야 한다. _ 배덕만
민주주의의 가치는 결과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과정에 있다. 효율이라는 허상의 가치에 매몰되지 않고, 목회자와 평신도 모두가 ‘소란스러운 연대’를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장이 교회여야 한다. 교회는 민주주의의 가치를 실현할 평신도의 주체성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_ 김애희
머리말
1. 신약성서가 가르치는 목사의 불편한 진실 _ 조석민
2. 거룩한 삶으로의 부르심 _ 김근주
3. 오늘의 목사직, 어디로 가고 있는가? _ 김동춘
4. 루터, 왜 만인사제주의를 말했나? _ 배덕만
5. 교회 분쟁, 그 중심에 사제주의가 있다 _ 김애희
카테고리 없음